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헬스코리아뉴스 / 박원진] '경제성장의 속도와 기간에 따라 자살률이 반대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끈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팀(교신저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휴먼시스템의학과 이나미 교수)은 전 세계 198개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약 30년간 경제성장률과 자살률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장기적으로 경제가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 자살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같은 현상은 특히 중·저소득 국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고소득 국가의 남성에서는 단기적으로 급격한 경제성장기에 오히려 자살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격한 경제성장이 기존의 사회적 구조와 역할 체계를 붕괴시키고, 기존의 규범이 무력화된 '사회적 아노미(Social Anomie)' 상태를 유발해 사회구조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동욱 교수는 "경제성장은 일반적으로 긍정적 변화로 인식되지만, 그 속도와 기간에 따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정반대일 수 있다"며 "뒤처지는 사람 없이 함께 성장의 혜택을 누리도록 사회복지, 정신보건 등 사회안전망을 함께 강화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약 30년에 걸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도별 경제성장률 변화 추이에 따라 자살률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분석한 최초의 대규모 생태학적 연구로 평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PLOS ONE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