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소비자경제] 김동환 기자 = 엔비디아가 대한민국 정부와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개의 최신 GPU를 공급하며 한국을 글로벌 AI 인프라 전략 거점으로 공식 선언했다.
공급 규모는 최대 1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한국의 AI 산업 전환에 결정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31일 온라인 사전 브리핑을 통해 한국 인프라·기술 발전을 위한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반도체·모빌리티·의료·통신 등 전 산업 영역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 내 AI GPU 수량은 기존 6만5천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늘어나며 세계 최고 수준 AI 인프라에 근접하게 된다.
특히 이번 공급분에는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GPU가 대거 포함됐다. 업계가 추산하는 GB200 단가(3만~4만 달러 기준)를 고려할 때 전체 규모는 10조~14조원 수준이다. 전 세계적으로 GPU 수급난이 심화된 가운데, 한국이 우선 공급 대상국이 된 점이 주목된다.
정부는 최대 5만개의 GPU를 배치해 국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직접 지원한다.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5만개,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를 확보하며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 AI 팩토리는 엔비디아가 제시한 차세대 인프라 개념으로, 단순 데이터센터를 넘어 '지능(Intelligence)을 생산하는 공장' 기반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혁신에 엔비디아 플랫폼을 활용한다. SK그룹은 산업 전반에 적용될 '산업용 AI 서비스 공급자'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로보틱스 분야 거대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대형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소버린 LLM 경쟁력을 강화해 한국형 AI 인프라 기반을 확장한다.
또한 엔비디아는 6세대 이동통신(6G)·AI 기반 무선접속망 개발에서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와 협력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는 '양자컴퓨팅 연구센터'를 설립해 국가 슈퍼컴퓨터 '한강'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연구도 병행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통신망은 국가 경제 전체의 디지털 신경망"이라며 "한국과 함께 미래 산업의 표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확보한 대규모 GPU는 소버린 AI 역량 강화로 직결되며, 제조·모빌리티·통신·의료·핀테크 등 주요 산업 전반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는 "AI 산업혁명이 한국에서 현실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