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 김은경 기자 = 최근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등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후폭풍으로 국내 경기 침체가 더욱 심화한 가운데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사상 최대 실적'은 재차 경신될 전망이다. 당국이 가계대출 관리에 고삐를 당기면서 은행권의 예대금리차 확대 영향으로 이자수익은 더욱 증가했기 때문이다.
순이익 총액 17조원 수준…"역대 최고치 전망"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4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2조4,305억 원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 기록한 1조3,421억 원 대비 무려 80% 넘게 급증한 수치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우선 KB금융지주는 지난해 4분기 2,114억 원에서 올해 4분기 6,768억 원으로 순이익에서 220.1% 폭증할 것으로 관측됐다.
동 기간 신한금융은 27.5% 증가한 7,343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하나금융 35.1% 오른 6,212억 원, 우리금융의 경우 319.4% 확대한 3,983억 원 규모로 각각 예상됐다.
이에 연간 기준으로도 금융지주사들의 역대 최대 실적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순이익 전망치는 총 16조9,245억 원으로, 지난해 기록한 15조1,367억 원 대비 11.8% 뛸 것으로 관측됐다.
이처럼 금융지주사들의 순이익 총액이 17조 원에 근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22년 고금리 기조 속 거둬들인 사상 최대 실적인 15조6,503억 원 수준도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최근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행보에도 금융지주사들이 이 같은 호실적 행보를 이어가는 배경으로는 확대된 예대금리차가 지목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7월 0.43%포인트에서 10월 1.04%포인트로 2배 이상 급등했으며,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7월 연중 내내 지속된 가계부채 확대를 멈추기 위해 가계대출 관련 적극적 관리를 주문한 바 있다. 이에 은행들은 가산금리 등을 올리는 방식으로 대출 금리를 높여 유지했고, 이에 따라 예대금리차 확대로 이어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예대금리차 확대로 은행들의 이자수익도 커지는 양상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국내 은행의 누적 이자수익은 44조4,000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다.
팍팍한 서민경제…상생금융 추가방안 나오나
반면 내수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는 악화 일로를 겪고 있다. 특히 한국경제의 '잠재적 시한폭탄'으로 장기간 거론되는 가계대출 관련 청년층의 이자 연체율 증가는 더욱 심화하는 모양새다.
실제 생활고 등 영향으로 소액생계비 대출을 일으킨 취약계층 3명 중 1명은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연체 상태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신용·저소득층 대상 정책금융상품인 소액생계비대출 연체율은 지난 10월 기준 29.7%에 달했다. 작년 말 11.7% 수준이던 연체율은 지난 5월 20%를 돌파한 뒤 빠르게 치솟아 30%대 진입을 목전에 둔 상황이다.
특히 2030 청년층의 연체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 연체율은 36.2%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30대는 32.4%에 달했다. 이어 △40대(29.6%) △50대(26.3%) △60대(22.6%) △70대 이상(22.6%) 등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연체율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서민 경제가 팍팍함에도 사실상 '나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는 금융권에 대한 상생 압박 강도는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은행권과 함께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추가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은 연체 전이라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차주를 위해 맞춤형 채무조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사업 운영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는 '저금리 장기 분할 상환 프로그램'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재기 의지가 있으며, 경쟁력 제고 가능성도 높은 소상공인 등에 대해선 추가적인 사업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기관과의 협의를 토대로 '소상공인 상생 보증·대출'을 마련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수출이 둔화하고 내수 회복도 지연되면서 국내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나온다"며 "이런 상황에서 엄청난 호황을 누린 금융지주들에 대한 상생금융 압박은 향후 더욱 거세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