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공개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유관기관 자료와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2021년 국가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28일 공개했다. 사진은 2021년 분야별 온실가수 배출비중. ⓒ환경부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유관기관 자료와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2021년 국가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28일 공개했다. 사진은 2021년 분야별 온실가수 배출비중. ⓒ환경부

2021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이 6억 7,960만톤으로 전년 대비 3.5%오른 2,300만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유관기관 자료와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2021년 국가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28일 공개했다.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산업계의 생산 활동이 회복되고 이동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배출량 증가율(3.5%)은 전 세계 평균(5.7%) 및 주요국 증가율(미국 6.2%, 유럽연합 7%, 중국 4.8%)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분야별 배출량 비중을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가 5억 9,060만톤으로 86.9%를 차지했으며, 산업공정 7.5%(5,100만톤), 농업 3.1%(2,120만톤), 폐기물 분야가 2.5%(1,680만톤) 순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발전 부문은 산업활동 회복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년에 비해 400만톤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발전량은 4.5% 증가했지만 기존 석탄발전 감축과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증가(13%) 및 재생에너지 발전 증대 등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온실가스 배출량은 1.8% 증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 장다울 전문위원은 "2019~2020년 감소세로 들어갔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2021년 다시 증가세로 바뀐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라고 이번 환경부 발표의 의미를 평가했다.

장 전문위원은 “코로나로부터의 경기회복이 주원인이라 하더라도,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인 한국은 더 큰 감축노력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더 줄였어야 했다”라고 지적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서 핵심은 배출 총량 관리이다.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보다 2030년까지의 배출 총량을 제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한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과 역할 대비 부족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부족한 목표라도 지키기 위해서는 탄소중립기본법이 요구하는 연도별.부문별 목표를 포함한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시급히 수립하고, 이번과 같이 목표를 초과할 때마다 추가적인 감축 정책을 시행하여 총량 관리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기후위기는 곧 경제위기라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전세계적인 RE100 캠페인이나 탄소국경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재생에너지의 빠르고 과감한 확대가 필요하다"고 새 정부에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이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