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열린 '텔미누보'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서울아산병원 순환기내과 김대희 교수가 '텔미누보'의 임상적 이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헬스코리아뉴스 / 이창용] 종근당이 세계 최초로 본태성 고혈압 적응증을 획득한 '텔미사르탄+S 암로디핀' 저용량 2제 복합제 '텔미누보'를 최근 국내 시장에 출시하면서 의료계와 환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약물은 특히 부작용 걱정이 큰 젊은 고혈압 환자나 다약제 복용에 부담을 느끼는 초진 환자에게 효용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종근당은 이를 기념하여 21일 서울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세계 최초로 본태성 고혈압을 적응증으로 확보한 저용량 2제 복합제 '텔미누보정 20/1.25mg'의 출시를 알리고, 텔미사르탄 패밀리 제품군의 전략적 비전과 임상적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텔미누보 20/1.25mg'은 미사르탄 특유의 장시간 혈압강하 효과와 에스암로디핀의 부작용 감소 및 우수한 혈압 강하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용량 단일제형 복합제(SPC, Single Pill Combination)로 제형 크기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제 크기를 축소하고 인습성을 개선하는 등 환자 중심 제형 설계(patient-centric design)를 반영한 것이다. [아래 용어설명 참조]
종근당은 텔미누보 20/1.25mg 발매로 고혈압 초치료 단계에서 치료제 선택의 폭을 넓히고, 복약 부담이 높은 초기 환자 및 기존 단일제에서 조절이 미흡한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접근성이 높은 2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날 간담회의 좌장을 맡은 한양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신진호 교수는 "최근 ESCJSH 등 주요 가이드라인은 초기부터 2제 병용요법을 우선 권고하고 있다"며, "저용량 SPC는 부작용 우려를 낮추면서도 목표혈압에 신속히 도달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라고 말했다.
연자로 나선 서울아산병원 순환기내과 김대희 교수는 "텔미누보 20/1.25mg은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초저용량 복합제(low-dose combination) 개념을 실제 임상에 적용한 제품"이라며, "특히 부작용 걱정이 큰 젊은 고혈압 환자, 다약제 복용에 부담을 느끼는 초진 환자에서 효용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초저용량 복합제 개념 실제 임상에 적용 ... 환자 중심 제형 설계로 접근성 확대
종근당은 '텔미누보 20/1.25mg' 출시를 계기로 텔미사르탄 기반의 단일제·2제·3제·4제 복합제 라인업을 완성하며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복합질환 영역에서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종근당 관계자는 "텔미누보 20/1.25mg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본태성 고혈압 적응증을 획득한 저용량 2제 복합제로,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원했던 '부담 없는 시작'이 가능해졌다"며, "환자 중심 치료 가치에 기반해 텔미사르탄 패밀리의 임상적 효용성을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1일 열린 '텔미누보'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좌장을 맡은 한양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신진호 교수가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이번 '텔미누보 20/1.25mg' 출시에 따라 저용량 복합제를 통한 추가적인 시장 성장과 점유율 확대도 기대된다. 회사 측은 2026년 3월 텔미사르탄에 S-암로디핀과 이뇨제인 클로르탈리돈을 결합한 '텔미누보 플러스(3제 복합제)'도 선보일 예정이다.
'텔미누보 플러스'는 ARB 복합제 Line-up의 완결판으로 텔미사르탄 제품군의 커버리지를 확대하여 매출을 최대로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회사 측은 고혈압 및 이상지질혈증 이종 질환 복합제인 '텔미로젯', '누보로젯' 등의 3·4제 복합제 시장에서도 복약순응도 이점 측면을 지속 강조하며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용어설명
단일제형복합제(SPC, Single Pill Combination)는 환자의 복용 편의성과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질환의 치료제를 하나의 정제에 담은 의약품을 말한다.
SPC는 복용 횟수와 알약의 개수를 줄이고서도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등과 같은 여러 만성질환을 동시에 관리·치료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무엇보다 약을 여러 개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복용의 번거로움을 줄여 치료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일명 복약 순응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SPC는 심혈관질환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복용 개수 감소로 인해 약물 순응도가 높아지고, 이것이 치료 효과와 환자 건강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SPC가 복잡한 만성질환 관리에 있어 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적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으면서 최근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2제·3제·4제 등 다양한 SPC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