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사진=연합뉴스)[소비자경제] 이동윤 기자 =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2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4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선 이번 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실적 반등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삼성전자는 8일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조6천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5.94% 감소, 전 분기 대비로도 31.24% 줄어든 수치다. 매출은 7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9%, 전 분기 대비 6.49% 줄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5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3년 4분기(2조8천억원대) 이후 6개 분기 만이다.
이번 실적 부진의 핵심 원인은 반도체 부문에서 발생한 수천억 원 규모의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이다. 재고 가치 하락을 예상해 미리 손실로 반영한 이 비용은 메모리와 비메모리 부문에 모두 적용되며 실적에 큰 타격을 줬다. 삼성전자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은 재고 충당 및 AI 칩 관련 대중 제재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 또한 갤럭시 S25 출시 효과가 소멸되며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었고, 가전과 TV 부문도 수요 위축과 관세 부담, 시장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둔화됐다. 비메모리 부문은 AI 칩 관련 중국 수출 제약 여파로 판매가 줄고, 라인 가동률 하락이 이어졌다.
다만 시장은 이번 2분기를 '실적 저점'으로 보고, 하반기 반등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고부가가치 메모리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출하가 본격화되고 있고, 글로벌 AI 수요 확대와 함께 서버용 D램 등 전방 수요 회복 조짐이 감지되기 때문이다.
실적 반등의 키는 여전히 반도체, 특히 HBM과 AI 칩 수요에 달려 있다. 삼성전자는 "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며, 하반기에는 수요 회복에 따른 라인 가동률 개선과 적자 축소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삼성전자가 반도체 턴어라운드와 함께 '실적 반격 카드'를 성공적으로 펼칠 수 있을지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