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4 (일)

  • 구름많음서울 25.4℃
  • 구름조금제주 25.2℃
  • 맑음고산 27.9℃
  • 구름많음성산 26.5℃
  • 구름조금서귀포 26.8℃
기상청 제공

정보


신장 및 요로결석 ‘이 증상’ 있다면 제거 필요

현대인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요로결석은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왼쪽이나 오른쪽 옆구리, 아랫배 통증을 호소하며 혈뇨, 탁뇨, 잔뇨감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신경이 연결되어 있다 보니 소화 기관에도 영향을 미쳐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감염으로 인해 고열, 오한 등의 전신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방치 시 심각한 합병증, 신장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어 조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요로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를 일컫는 말로, 소변이 생성되어 바깥으로 나가기까지의 모든 길목을 의미한다. 이곳에 단단한 돌이 생기는 것을 요로결석이라 한다.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은 물론, 그로 인해 극심한 통증 및 요로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초기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로는 모두 돌이 생길 수 있지만 90% 이상이 신장이나 요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비뇨기과 환자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보이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신장 기능까지도 손상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바로 진단 및 의료인과의 상담을 통해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진대사가 망가지게 되는 질환인 만큼, 식습관과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수분 섭취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수분을 적게 섭취하면 결석을 형성하는 과정이 억제하는 과정보다 강하게 작용하여 결석으로 이어지게 된다. 

 

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환경이나 식이습관, 유전 등이 있다. 기온이 높아질수록 땀을 많이 흘리고, 이로 인해 탈수가 되기 쉬워진다. 또한 소변이 농축되는 데다 비타민 D가 합성되어 칼슘 흡수를 높여 발병률이 높아진다.

 

염분이나 기름기, 동물성 단백질을 과도하게 섭취할 때도 위험이 커진다. 백내장, 위궤양, 통풍 치료제, 이뇨제, 비타민 C 등도 오랜 기간 복용하게 되면 결석 생성이 촉진된다.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당뇨병, 통풍, 요로감염 등의 질병이 있을 때도 발병률이 높아진다.

 

똑같은 환경이더라도 가족력이 있으면 확률이 높아지며, 여성보다 남성이 2배 정도 더 많이 나타난다. 신진대사 관련 질환이기에 유전병이기도 하여 가족 중 요로결석 환자가 있으면 본인도 주의가 필요하다.

 

대부분 갑작스럽게 느껴지는 극심한 고통으로 인해 신속한 대처를 해야 하는 만큼, 관련 검사를 거친 후 알맞은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시된다. 문진, 병력 청취, 신체검사, 소변, 혈액, 단순 요로 촬영(KUB), 경정맥 요로조영술(IVP), 초음파,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CT) 중 필요한 과정을 거쳐 알맞은 방법을 시행하게 된다. 치료로는 1차 방법으로 많이 시행되는 체외충격파 쇄석술과 요관 내시경, 복강경 등이 있다.

 

심하지 않은 수준, 즉 직경 4mm 이하일 때에는 물을 많이 마시는 등 자연 배출을 유도하는 대기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그 이상의 크기에서는 1차적으로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진행한다. 몸 바깥에서 만들어낸 강한 충격파를 조사하여 내부의 결석만을 부수는 것으로, 작은 가루로 만들어 자연 배출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수일 정도 혈뇨, 통증이 동반되지만 자연적으로 사라지며, 배출이 될 때까지 하루에 3L 정도의 물을 마셔주어야 한다.

 

신장 부근에 있거나 크기가 큰 경우, 매우 단단한 경우 등에서는 내시경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연성요관경하 제석술을 시행하는데, 이는 요도를 통해 부드럽게 휘어지는 연성 내시경을 집어넣어 직접 제거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모두 피부 절개를 하지 않으면서 내부 결석을 제거해볼 수 있다. 요관 결석의 경우에는 수면 마취 혹은 척추마취를 통해서 간단히 제거 후 당일 퇴원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만 개인에 따라 요로결석 원인이나 증세 및 위치, 개수, 크기 등이 모두 다른 만큼 사전에 검사를 통해 정확히 구분한 후 진행하는 것이 권고된다.

 

 

(* 이 칼럼은 정재현 서울리더스비뇨의학과 원장의 기고입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