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하나금융硏, 위드코로나 시대, 친환경·디지털 가속화...'2022년 산업전망 보고서 발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2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향후 주요 산업 경기를 진단했다. 

 


2022년, IT 및 자동차 등 제조업 성장세 둔화되나 내수·서비스업종 회복 기대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2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교역 증가폭 축소 및 역기저효과 등으로 인해 주요 산업의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동 연구소는 선진국 회복세 둔화와 공급망 차질 지연 등으로 인해 제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는 둔화될 것이나 친환경/디지털이 산업 트렌드를 주도하며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으로 인해 부진했던 숙박, 여행, 음식업, 면세점 등 내수 서비스업종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14개 산업 중 2개 산업만 올해 수준의 경기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팬데믹 특수로 호실적을 보였던 IT, 자동차 등 최종재 제조업의 경기 사이클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의 공급망 차질과 중국 경기둔화 리스크, 원자재가 부담이 국내 주요 산업의 회복세를 끌어내릴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분석대상 14개 산업 중 이차전지, 화학·정유 등 일부 소재류를 제외하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올해 선전했던 산업들의 경기 싸이클이 하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철강은 전방산업 둔화로 안정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했으며,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은 팬데믹 특수 감소와 반도체 공급 차질의 여파로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전기차 전환에 따른 수요가 증가하는 이차전지와 물동량 증가세가 지속되는 해운업은 호황 국면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부분별로 보면 IT산업군의 경우 반도체는 경기가 둔화될 전망이나 파운드리가 시장을 견인하며 10%대의 성장세와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디스플레이는 LCD가격 하락과 코로나 특수 소멸로 인해 생산 및 수출액 모두 감소하며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신석영 연구원은 “전장 및 전력용 반도체는 수급차질이 지속되며 품귀현상이 지속되겠으나 메모리는 수요 둔화와 설비 증설 영향으로 가격하락 압력이 커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기계산업군내 자동차의 경우 친환경차 수요가 지속되겠으나 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 지속과 선진국의 회복 모멘텀 둔화로 인해 생산과 수출 모두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은 LNG,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신조발주가 증가하고 고부가선박 수주량도 늘어나며 경기싸이클은 회복되고 있으나 저가수주물량 인도 등으로 인해 매출과 이익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상대적으로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화학·정유, 철강 등 소재산업군은 제품가격 상승의 수혜가 사라지겠으나 전방 수요 개선으로 인해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안혜영 연구원은 “섬유,의류 등 전방 수요가 늘어나겠으나 ‘22년 하반기부터 중국 등 아시아 신증설 물량이 공급될 예정되어 있어 공급 과잉 우려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위드코로나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소비심리도 개선되면서 내수·서비스업은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통·음식료의 경우 이연되었던 외출 관련 품목 소비가 늘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음식료는 외식 수요확대에도 건강 및 웰빙기능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건설업은 공공 및 민간 주택 공급확대와 SOC투자 증가로 인해 수주 개선세가 이어질 전망이나 건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정지연 및 수익성 악화에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재 공급차질/기후 변화 대응/위드코로나의 전환 등에 대해 기업들의 대응 필요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팬데믹 위기가 완화되더라도 ▲공급망 교란 지속, ▲기후 위기 대응 부담, ▲위드코로나의 일상화에 따른 변화를 기업들이 주목해야 것으로 내다봤다.


먼저 반도체 공급망 교란의 지속가능성을 전망하며 산업내적인 수급 요인 외에도 미·중 갈등, 중국 전력난發 원료 품귀 등 거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어 수급불균형을 악화시킬 가능성을 우려했다. 메모리는 각국 반도체 자급 추진에 따른 설비 경쟁이 반도체 생태계 구조 변화와 함께 공급과잉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팬데믹 이후 지속가능성장을 위해 선진국 중심으로 기후변화 관련 규제 도입이 확대되며 우리 기업들의 대응 부담이 높아질 것을 우려했다. CBAM(탄소국경제도), 국내 탄소중립 등의 환경규제로 인해 주력 수출 산업의 환경비용이 상승하고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보았다. 특히 탄소다배출 산업인 철강, 화학·정유, 자동차 업종의 부담이 가중되고 영세기업의 경우 부실 리스크에 크게 노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방역조치가 일정 수준 완화되며 위드코로나 환경으로 옮겨감에 따라 서비스 업종의 희비가 갈릴 것으로 예상했다. 유통, 디지털플랫폼은 온라인화, 무인화 등으로 운영 형태의 급변이 예상되며 여행, 숙박, 공연업은 회복을 보이겠으나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도달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남훈 연구위원은 “코로나 시대에 억눌렸던 소비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으나 공급차질로 인한 제조업의 생산차질 리스크가 남아 있고 공급원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도 높아 기업들의 경영관리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포토이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