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이미지투데이 (부계사회 이후 결혼한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고 차별을 받고 있다)
출처 : 이미지투데이 (부계사회 이후 결혼한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고 차별을 받고 있다)

남녀가 연을 맺고 가정을 꾸리는 행위를 흔히 결혼한다고 표현한다. 이 결혼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지어 표현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성에게는 ‘시집가다’, 남성에게는 ‘장가들다’라고 하는 것이다. 시집가다 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여자가 신랑을 맞아 혼인을 하다’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 보면 우리는 남성의 가족을 의미하는 ‘시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부모님, 남편이 함께 사는 집이다. 여성이 결혼하면 자신의 집을 떠나서 남편의 집으로 간다는 의미로 시집간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그럼 장가들다 라는 말은 무엇일까? 이 역시 사전적으로는 ‘남성이 신부를 맞아 혼인을 하다’라는 의미이지만 무언가 살짝 어감이 다르다. 여성에게는 간다 라는 표현을 하지만 남성에게는 장가간다 라는 말보다는 장가들다 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근래 젊은층에서는 편의상 장가간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장가들다는 남성이 결혼하여 장인어른, 장모님이 사는 집인 장가(丈家)로 들어가서 산다는 뜻이다. 과거 우리나라에도 모계사회 시스템이 있었으며 이때에 남성이 결혼을 하면 여성의 집으로 들어가서 살았다. 이른바 데릴사위가 되는 것으로 신부의 집에서 일을 해주면서 살아 가는 것이다. 시대와 체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첫 아이를 낳으면 독립해서 분가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모계사회였을 때에는 남성이 장가를 들었고 부계사회가 되면서 여성이 시집을 가는 양상이 된 것이다. 

출가외인(出嫁外人)이라는 관념도 있다. 결혼을 하고 나면 집안 사람이 아니다, 결혼 후에는 시댁의 문화를 따라야 한다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이 관념도 과거에는 그리 많지 않았다. 결혼 후에 무조건 시집을 가야하는 것도 아니며 친정부모를 모시고 살 수 있었다. 아들이 없어도 딸이나 외손자가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이렇게 남녀가 평등했던 혼인제도는 조선시대 성리학이 국가이념 학문이 되면서 완전히 뒤바뀌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조선 태종 때 일부 관리는 혼인제도에 대해 ‘구습을 버리지 못하여 음이 양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양이 음을 따르니 불합리하다’고 주장하여 이때부터 조정 차원에서 변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오랜 관습은 그리 쉽게 변화하지 않기에 서서히 변하기 시작했고 결혼을 처가에서 올리고 몇일동안만 처가에서 머문 후 시집으로 와서 생활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요즘 결혼을 하고 신혼여행을 한 신혼부부가 시댁보다는 처가에 먼저 들러서 하루밤을 자는 풍습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처가와 뒷간은 멀수록 좋다’, ‘겉보리 서말만 있더라도 처가살이는 안한다’ 등의 처가를 멀리할 것을 대놓고 강조하는 말들이 생겨나며 여성을 종속하려는 성리학의 영향이 커지면서 우리나라의 여성 지위는 한없이 낮아졌다.

아직도 결혼한 여성들에 대한 차별적 대우가 심한 상황이다. 여성이 운전을 하면 ‘김여사’라고 무시하거나 난임의 모든 잘못은 여성에게 있다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차츰 변화하는 여성차별 문화에서 그나마 나아지는 것은 결혼을 하지 않는 미혼, 비혼의 여성들이며 결혼한 기혼의 여성들은 많은 차별을 안고 살고 있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라는 속담은 성미가 억센 여자가 가정일에 간섭하면 잘 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생각을 해보면 남성이 할 일을 잘해서 여성이 나설 상황을 만들지 않으면 그걸로 되는 것이다. 수탉이 우렁차게 우는 것은 어쩌면 암탉에게 잘 보이고 싶은 마음에서 일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사이드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